본문 바로가기
생활의 정석

상속세 면제 한도액 보기

by £ ¥ ¤ 2023. 1. 3.

상속세 면제 한도액을 알아보겠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부모님이 돌아가시면 상속이라는 제도를 통해 재산을 물려받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발생하는 세금이 바로 상속세인데요. 상속세는 피상속인이 남긴 유산에 대한 세금을 말하며 부동산이나 예금, 주식과 같은 여러 가지 형태의 재산이 모두 포함됩니다. 또한 상속인에 따라 일정 비율의 공제금액이 있기 때문에 잘 알아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상속세 면제 한도액 보기

 

오늘은 상속세 면제 한도액 및 세율, 절세방법 등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상속세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국세청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국세청

국세청

www.nts.go.kr

상속세 면제 한도액 보기

 

목차

상속세 면제 한도액
상속의 순위
절세방법

 

 

 

상속세 면제 한도액

 

기본공제 항목으로는 기초공제 2억 원과 인적공제 1인당 5천만 원(배우자 포함)이 있습니다. 추가공제도 있는데 장애인 또는 65세 이상 고령자에게는 1인당 3천만 원, 미성년자에게는 1인당 1천만 원이 적용됩니다. 금융재산상속공제는 순금융재산가액이 2천만 원 이하라면 전액 공제되고 2천만 원 초과 1억 원 이하라면 2천만 원까지만 공제됩니다.

 

 

상속의 순위

 

우리나라 민법에서 정의되어 있는 상속의 순서는 아래와 같으면 그 상속세에 대한 세율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절세방법

 

상속재산 규모나 상황에 따라 세부담 차이가 발생하지만 일반적으로 10억원 이하 재산을 상속받는 경우라면 5억 원 초과 금액에 대해서만 상속세를 납부하면 됩니다.

 

따라서 사전증여 또는 유언을 통해 상속재산을 분배할 때 최대한 세금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이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증여공제액을 이용하여 배우자 및 자녀에게 미리 증여함으로써 증여세 부담을 줄이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종신보험을 활용하는 방법으로 보험료 불입 시 계약자와 수익자를 자녀명의로 지정하는 방안이 권장됩니다. 

 

이상 상속세 면제 한도액 및 세율 등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상속세는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고민해봤을 법한 주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확실한 건 미리 준비할수록 절세 혜택을 누릴 수 있으니 잘 준비해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